본문 바로가기
매매 기법

ICT : (4편/10편) - 핵심 요약 Order Block, FVG, OTE를 한눈에

by 인천고래
반응형

안녕하세요. 돈이 되는 지식을 공유하는 인천고래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시장 구조와 그 붕괴 시점에서 포착할 수 있는 신호들(BOS, CHoCH 등)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ICT : (3편/10편) - 시장 구조란? 추세를 읽는 가장 근본적인 기술

3편. 시장 구조란? – 추세를 읽는 가장 근본적인 기술안녕하세요. 돈이 되는 지식을 공유하는 인천고래입니다.이전 글에서는 ICT 전략의 핵심 철학인 유동성, 시장 구조, 심리 흐름 중에서 유동

i-whale.com

 

 

오늘은 ICT 전략의 핵심 구성 요소이자, 실제 진입 타이밍과 매매 전략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가지 개념을 소개하려 합니다.

Order Block (오더 블록), Fair Value Gap (공정 가치 갭), OTE (Optimal Trade Entry)

이 세 가지는 단순한 이름 이상의 개념입니다.

각각은 시장을 지배하는 세력(=스마트 머니)이 만들어낸 매매의 발자취이며, 진입의 근거가 되는 ICT 전략의 기둥이라 할 수 있습니다.

 

ICT 전략 연재 목차

회차별 주제학습  목표
1편 ICT 전략이란? 배경, 기본 철학 이해
2편 유동성이란? 시장의 연료 추적
3편 시장 구조 이해 CHoCH, BOS, 구조 전환
4편 ICT 핵심 개념 요약 FVG, OB 등 전체 정리
5~7편 FVG, OB, OTE 진입 포인트 실전 적용
8편 시간대 전략 Killzone 실전 대응
9편 실전 시나리오 차트 기반 예제 분석
10편 체크리스트 제공 실전 적용 도구 배포

 

 


1. Order Block (오더 블록): ‘기관이 진입한 흔적’

Order Block은 시장이 크게 움직이기 직전 기관(혹은 주도 세력)이 미리 포지션을 구축한 지점입니다.

즉, 강한 상승(혹은 하락)을 만들기 전에 "매집" 또는 "분산"의 흔적이 나타나는 캔들 덩어리이며, 이후 시장은 이 구간을 다시 테스트하며 방향성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1. Order Block을 식별하는 법

  • 상승 OB: 하락 캔들 이후 장대 양봉이 출현하며 상승 추세 시작 → 그 직전 하락 캔들이 기관 매집의 흔적
  • 하락 OB: 상승 캔들 이후 장대 음봉이 출현하며 하락 추세 시작 → 그 직전 상승 캔들이 매도 세력의 분산 흔적
이 OB 구간은 차트에서 지지/저항처럼 작용하며, 되돌림 매매의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2. Fair Value Gap (FVG): ‘시장 균형의 공백’

FVG는 3개의 캔들 구조 사이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 가격 이동 구간입니다. 즉, 시장이 너무 빠르게 움직인 탓에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거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공백이라 할 수 있습니다.

2-1. FVG는 이렇게 찾습니다

  • 기준: 3개의 연속된 캔들에서
    • 첫 번째 캔들의 고가
    • 세 번째 캔들의 저가
    • 이 둘 사이에 두 번째 캔들의 몸통(Body)이 너무 커서 공백이 생김

이 구간은 시장이 나중에 되돌아와 공백을 메우는 성향을 보이므로, 진입·청산 기준으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가격은 공백을 싫어한다.’는 말처럼, FVG는 매우 높은 확률로 재방문이 일어납니다.

3. OTE (Optimal Trade Entry): ‘가장 효율적인 진입 구간’

OTE는 ICT 전략에서 강조하는 고확률 진입 지점입니다. 단순히 싸게 사는 게 아니라, 시장 구조가 바뀌고 나서 ‘되돌림’이 나오는 포인트에서 진입하는 전략입니다.

3-1.OTE 계산법

  • 피보나치 되돌림(0.618~0.705) 사이에서 진입
  • 전 고점 ↘ 전 저점 또는 저점 ↗ 고점 사이의 되돌림 구간을 계산

즉, 고점이나 저점을 찍고 나온 추세 변화 이후에, 기관이 일부 이익 실현 및 재매집하는 지점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무작정 돌파 진입이 아닌, OTE에서의 진입은 손절이 짧고 수익폭은 크게 설정 가능해집니다.

4. 이 세 가지, 어떻게 연결되나요?

Order Block → FVG → OTE

  • 먼저 시장에는 Order Block이 생깁니다. 이는 추세 전환의 시작점입니다.
  • 강한 움직임이 발생하면 FVG(공백 구간)이 생깁니다.
  • 그 이후 가격이 되돌아오는 구간 중 피보나치 기준으로 OTE 지점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가 동시에 겹치면?  “ICT의 황금 진입 시나리오”가 완성됩니다.


5. 정리: ICT 전략의 실전 흐름

구간 역할 시각화 요소
Order Block 기관의 진입 흔적 캔들 전환 전 하락(또는 상승) 캔들
Fair Value Gap 시장이 균형을 못 잡은 공백 장대 캔들 주변 갭 영역
OTE 가장 효율적인 진입 구간 피보나치 61.8~70.5% 되돌림
이 3가지를 함께 해석할 수 있게 되면, 단순한 지표 트레이더가 아닌 ‘구조를 해석하는 트레이더’로 한 단계 진입하게 됩니다.

6. 마무리하며

단순한 봉 하나에 숨겨진 세력의 흔적을 읽어낼 수 있게 되는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ICT 전략은 지표가 아닌 의도와 발자취를 해석하는 기술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실제 진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다루는 실전편으로 이어갑니다.

FVG와 OB, 그리고 OTE가 실제 차트에서는 어떻게 작용하고 되돌림 구간은 어떻게 찾아내야 하는지 함께 확인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제 글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음 글 예고

[5편] ICT 진입 전략 실전편 – OB, FVG, OTE 실습으로 익히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