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돈이 되는 지식을 공유하는 인천고래입니다.
요즘 유튜브나 블로그들을 보면 ICT 전략에 대해 많은 영상과 글들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보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문적인 주식 투자자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ICT 개념과 기법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두면 좋은 지식이라
제가 가진 지식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아래와 같이 ICT에 대해 연재 글을 작성을 해 볼까 합니다.
ICT 관련 글은 총 10편으로 글을 작성할 계획이며 대략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ICT 전략 연재 목차 (예정)
회차별 | 주제학습 | 목표 |
1편 | ICT 전략이란? | 배경, 기본 철학 이해 |
2편 | 유동성이란? | 시장의 연료 추적 |
3편 | 시장 구조 이해 | CHoCH, BOS, 구조 전환 |
4편 | ICT 핵심 개념 요약 | FVG, OB 등 전체 정리 |
5~7편 | FVG, OB, OTE | 진입 포인트 실전 적용 |
8편 | 시간대 전략 | Killzone 실전 대응 |
9편 | 실전 시나리오 | 차트 기반 예제 분석 |
10편 | 체크리스트 제공 | 실전 적용 도구 배포 |
이번 글은 프롤로그 형식이라 전체적인 감만 잡는 형태로 글을 썼습니다.
우선 ICT를 누가 만들었고 무엇을 가지고 주식 시장을 분석하는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들은 어떻게 매매할까? – ICT 전략의 탄생
ICT 전략은 Michael J. Huddleston이라는 트레이더가 기관 트레이더들의 사고방식을 연구하고 정리해 만든 전략입니다.
그는 전 세계 트레이더들에게 ‘The Inner Circle Trader (ICT)’라는 이름으로 스마트 머니의 매매 논리를 체계적으로 소개해왔습니다. 🔗 The Inner Circle Trader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이 전략은 지표에 의존하는 방식이 아닌, 유동성, 시장 구조, 심리 흐름을 중심으로 기관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분석 방식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기존의 기법들과는 무엇이 다른 것인지? 확인을 해 봐야겠죠?
2. 투자자의 30% 이상이 사용하는 RSI도 MACD도 잘 통하지 않는 요즘, 왜일까?
많은 투자자들이 이런 경험을 합니다.
- RSI가 과매도일 때 매수하면 오르는 경우도 있었지만 더 떨어진다?
- MACD 골든크로스가 나왔지만 반등 없이 하락?
이럴 땐 "내가 분석을 잘못했나?"라고 자책하기 쉽지만, 문제는 분석이 아닐 수 있습니다. 기관과 개인 투자자 사이의 '룰'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얘기하는 기관이라 함은 시장을 주도하는 세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관이 될 수도, 외국인이 될 수도 있고, 주가를 조작하는 세력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존 분석과 ICT 전략은 무엇이 다른지 표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기존 분석 vs ICT 전략 – 무엇이 다른가?
항목 | 기존 기술적 분석 | ICT 전략 |
분석 기준 | RSI, MACD, 이동평균선 | 유동성, 구조, 시간대 |
진입 시점 | 지표 신호 발생 시 | 유동성 제거 + 구조 붕괴 이후 |
시장 해석 | 숫자 기반 해석 | 의도와 흐름 기반 해석 |
시간 개념 | 무관 | Killzone 중심 |
요약하자면, ICT 전략은 유동성을 기반으로 '시장 구조 자체를 해석하는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ICT는 유동성이나 흐름을 어떻게 해석을 하는지 각 요소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4. ICT 전략의 핵심 요소는?
- Liquidity: 손절 구간, 대기 주문 밀집 – 시장의 연료
- Market Structure: 고점·저점 흐름 – 추세 전환의 열쇠
- Fair Value Gap (FVG): 불균형 영역 – 진입/청산 포인트
- Order Block (OB): 기관 포지션 진입 구역
- CHoCH / BOS: 시장 구조 전환 신호
- Killzone: 뉴욕·런던 오픈 전후 – 핵심 진입 시간대
차후에 자세히 설명을 드릴 예정이지만 위의 이 개념들을 이해하면, 시장 흐름이 왜 그렇게 움직였는지, 앞으로 어디로 갈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5. 마무리 – 때로는 시장을 바라보는 눈을 바꿔야 한다
ICT 전략은 단순한 매매 기법이 아닙니다.
시장 구조를 읽고, 기관의 흔적을 해석하며, 유동성의 흐름을 매매 기회로 바꾸는 사고의 방식입니다.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지표 없이도 트레이딩할 수 있는 관점, '왜 이 구간에서 변동이 나왔는가'를 설명할 수 있는 분석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물론 이 관점을 이해하기에는 처음엔 어렵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진행할 연재를 통해 하나씩 배워가며 지표에 의존하지 않는 트레이딩 사고력을 함께 키워보신다면 좀 더 확률 높은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제 글을 읽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음 글 예고
[1편] ICT 전략이란? – Inner Circle Trader는 누구이며, 어떤 철학을 제시했는가?
자신만의 매매법을 자동매매 프로그램으로 만들거나
기법이 확률이 떨어진다면 백테스팅을 사용해서 확률을 높여야 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요청하시면 요청하신 이상(가격대비 성능의 최대치)의 결과물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한 방에 주식 데이터 만들기 - 크몽
인천고래 전문가의 IT·프로그래밍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퀀트 매매, 수익률 높은 매매, 확률 높은 매매, 잃지 않는 매매 등<...
kmong.com
다른 보조지표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습니다.
보조지표 리스트 (추세, 모멘텀, 채널, 변동성, 거래량, 기타 지표)
안녕하세요. 주식을 통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며 인생 후반을 준비하고 있는 인천고래입니다.이전부터 보조지표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 왔지만 중요한 것 위주로 작성을 하다보니
i-whale.com
단기적인 스윙 및 세력 매집 분석에 용이한 기준봉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주식 기준봉' 카테고리의 글 목록
주식 투자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시장 정보 및 통계 등 수록하고 기록함을 원칙으로 하되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객관적인 자료를 구축하여 보다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하여 사이트를
i-whale.com
'매매 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 (2편/10편) - 유동성이란? (1) | 2025.05.07 |
---|---|
ICT : (1편/10편) - ICT 전략이란? (1) | 2025.05.07 |
추가 매수(추매, 물타기, 불타기)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아시나요? (0) | 2024.05.14 |
4연속 하한가 종목 발생, 지지라인 (선광,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0) | 2023.04.27 |
연속 하한가의 비밀, 하한가 매매기법에 대한 고찰 (SG증권, 3연속 하한가) (0) | 2023.04.26 |